top of page
  • feeeld
  • archidaily
  • Pinterest
  • Facebook
  • Instagram

Overpopulation, resource depletion, ecosystem collapse: after due consideration, from a planet that is at breaking point, the ultimate unexplored horizon, the only untouched frontier seems outer space.


Space is a mysterious and mysteriously violent place. It is a place of abyssal distances and magnitudes such as to go beyond the most refined comprehension. Space is the place where human science still falters getting excited at the slightest step forward in the knowledge of a void as ancient as time full of mysteries and concealed secrets.


In that dark and unknown abyss, the safest shelter, the closest haven is inevitably the Moon.


50 years after the last human moon landing, a renewed interest in space has driven a group of public and private international partners to go back to our silent satellite. Through the Artemis program, in November 2022 the first no-crew mission was launched.


Humans are expected to walk on the moon again by 2025. After that, the Moon will become the most important scientific base of humankind. In all likelihood, the most significant scientific discoveries of the coming decades will be made there.


In this remarkable scenario, YAC is proud to present Moon St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Topical Team on Planetary Caves of the European Space Agency. This competition aims to design the first moon research base.


Moon Station invites architects to take part in a unique and revolutionary challenge. A visionary challenge which is rooted in the reality of future space travels, of a man that is no longer content with Earth’s experiences and that is now able to venture into places that seemed impossible to reach until the last century.


Moon Station requires the design of a first-time architecture. It will be an iconic place that is the symbol of the most futuristic exploration of humankind. Here, the most daring people of the planet will enjoy silver deserts and skies that have never been seen before. They will walk amid silent craters to see the light-blue globe of their distant planet in a black horizon day and night.


This architecture will go down in history and become a legend as the Pillars of Hercules, Apollo 11 and any other human object aiming to trace the new frontier of human exploration: the new frontier of a renewed humankind, of a humanity which has already become “multiplanetary”.


YAC and ESA’s Topical Team thank all architects who will take up this challenge. Timeline

3/13~4/9 Early Bird Registration (65€ / team*)

4/10~5/7 Standard Registration (85€ / team*)

5/8~6/4 Late Registration (115€ / team*)

6/7 Material Submission Deadline

6/19 Jury Summoning

7/10 Results Announcement


https://www.youngarchitectscompetitions.com/open-competitions/moon-station





2023 제21회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 공모 주제

올가니즘(organism), 유기체의 건축


목재는 건축의 구조를 이루는 재료 중 유일한 유기체이다. 목조건축의 구조적 특수성은 이러한 재료의 성질에 기인한다. 또한 목재가 유기체로 인해 목조건축은 보다 친환경적이며 인간에게 더 감성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2023년 목조건축대전의 주제인 "유기체의 건축"아래 참가자들의 다양한 해석과 아이디어를 기대한다.


■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공모전 대학 심포지움

- 일시 : 2023. 4. 28(금) 17 ~ 19시

- 강연자 및 장소는 추후 (사)한국목조건축협회 / 목조건축대전 전용 홈페이지 공지


■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참가 신청

- 기간 : 2023. 4. 29(토) ~ 2022. 8. 15(화)

- 방법 :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온라인 참가 신청


■ 작품 접수

- 계획 부문

* 주제 : 올가니즘(organism), 유기체의 건축

* 1차(작품계획안) : 2022. 8. 16(수) ~ 2022. 8. 25(금)

* 2차(패널, 모형) : 2022. 9. 20(수)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참가비 : 50,000원

- 준공 부문

* 포트폴리오 : 2022. 8. 16(수) ~ 2022. 8. 25(금)

* 참가비 작품당 : 100,000원


준공부문 접수시 작품집, 전시회, 홍보매체 등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관련 온오프라인 홍보활동에 사용이 가능한 사진만 접수 및 출품이 가능하니 반드시 사전에 사진작가님과 저작권에 대한 협의를 완료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시 상

- 계획부문 / 준공부문 공통

1. 대상(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 1

2. 최우수상(서울특별시장상) 1

3. 최우수상(산림청장상) 3

4. 우수상(한국목조건축협회장상, 대한건축사협회장상, 한국건축가협회장상) 3

5. 특별상(구조 디자인상)

6. 특별상(국립산짐과학원장상 등) 다수

7. 입선 다수

* 특별상(구조 디자인상) : 목구조기술에 대한 혁신적인 시스템이나 미래형 목조건축물의 실현을 위한 구조 디자인을 인정하는 경우이며 준공부분에는 해당 구조기술사에게 수여한다. 다만, 계획부문과 준공부분에서 해당작이 없을 경우에는 선정하지 않을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공모전사이트 참고


■ 심사위원회

- 위원장 : 김재경(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위원 : 황두진(황두진건축사사무소 대표), 이정훈(조호건축사사무소 대표), 조윤희(구보건축사사무소 대표), 오정권(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교수)


■ 참가 문의 : (사)한국목조건축협회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운영위원회

- 전화 : 02-518-0610

- 이메일 : wood@kwca.or.kr

- 주소 : (12930) 경기도 하남시 조정대로 150, 아이테코 오렌지존 759호


http://www.kwda.or.kr/php/board.php?board=notice&command=body&no=12


2023 근현대건축 활용 설계 공모전


■ 공모 주제

- Bridging the Old and New : 미래를 위한 '등록문화재'의 보존과 다양성의 수용

-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근현대건축유산에 담긴 가치와 의미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지역사회의 관심과 가치보존을 장려하기 위해 근현대건축 활용 설계 공모전을 시행한다.


■ 참가신청

- 2023. 05. 01. ~ 2023. 06. 19. 17:00까지

- 접수 : bridgingtheoldandnew@gmail.com


■ 온라인 콜로키움 (3회, 5월 중)

- 공모요강 및 대상지 소개

- 국내사례 소개

- 해외사례 소개

* 온라인 게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질의응답 접수

- 2023. 05. 29. ~ 2023. 06. 02. 17:00까지

- 접수 : bridgingtheoldandnew@gmail.com


■ 답변게시

- 2023. 06. 09.

* 온라인 공지 및 개별 답장


■ 1차 작품접수 (온라인)

- 2023. 07. 10. 17:00까지

- 접수 : bridgingtheoldandnew@gmail.com


■ 1차 결과발표

- 2023. 07. 19.

* 온라인 공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2차 작품접수 (패널, 모형)

- 2023. 08. 09.

* 선정된 팀에 대하여 시간과 장소 개별공지


■ 2차 심사 (PT발표)

- 2023. 08. 09.

* 선정된 팀에 대하여 시간과 장소 개별공지


■ 최종 결과발표

- 2023. 08. 09.

* 온라인 공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시상식 및 수상작 전시오픈

- 2023. 08. 30.

* 시간과 장소는 추후 공지

* 학술행사와 연계하여 진행


■ 시상내역

- 대상 1팀 - 600만원

- 금상 1팀 - 200만원

- 은상 1팀 - 150만원

- 동상 1팀 - 100만원

- 장려상 10팀이상 - 50만원

ⓒ copyright 2019 department of architecture Gacho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